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0

경제적 독립에 관하여 월급쟁이의 삶 요즘 돈에 관해서 관심이 많다.(사실 예전부터 관심이 많긴했다) 늘 이런 비슷한 상상과 가정을 많이 하고 살았는데 ex) 내가 월급이 300 만원인데.. 서울 아파트가 10억이라고 치면 얼마나 모아야 집을 살 수 있지? 어디보자... (10억 / 300만원) / 12개월 = 27년...!? 그럼 내가 나중에 월급이 올라서 500만원이 되었다고 가정하고 다시...한번 (10억 / 500만원) /12개월 = 16.6년..?? 😵 그런데 이것도 한푼도 안쓰고 다 모아야 되는거잖아.. 이번 생은 집사기 글렀다 위와 같이 가정놀이(?)를 하고나면 늘 답답함과 현재 사회에 대한 불만이 물씬물씬 생겨나곤 했었는데... 얼마전 요즘 MZ 세대는 월급의 70~80%를 식비에 사용하고 대부분 다 써버린다는 .. 2024. 1. 3.
자본주의에 산다는 것 (feat. 앱 개발 수익화 그리고 세이노의 가르침) 요즘 세이노의 가르침을 읽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말 뼈를 때리는 묵직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는것 같다. 한장한장 넘길때마다 내가 자본주의에서 사는 방법은 정말 잘못된 점이 많고 고쳐야할 부분도 많구나라는걸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의외로 잘 하고 있는 부분도 있어서 한편으로 뿌듯하기도 했다. 세이노의 가르침에서는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전쟁터에서 휴머니즘을 찾지마라 책에서 나오는 예시를 들자면 전쟁터에서 군인 한명이 경계하지 않고 나비를 구경하다가 총에 맞아 죽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를 빗대에 자본주의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을 적용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자본주의라는)게임은 이익을 누가 더 많이 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가 그것뿐이다. 그것 이외에는 고려할 다른 이데올로리가 없다는.. 2023. 12. 31.
결핍이란 정말 놀라운 현상이다. 결핍이란 정말 놀라운 현상이다. 아기가 태어나기 전까진 퇴근후 밥먹고 운동하고 남는 시간에 꾸준히 조금식 이라도 코딩을(부업을) 하는것이 엄청난 열정과 에너지를 쏟는 일이라 생각했다. 왜냐하면 보통은 일을 마치고 추가로 부업이나 자기개발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올해초에 올린 글에서 캡쳐한 깃헙 그래프인데, 그동안 이정도 했으면 정말 열심히하지 않았나? 라는 스스로의 위안을 했던것 같다. 하지만 아기가 태어나고 결핍의 골이 커지면서, 현재는 엄청난 집중과 시간을 쏟아 개인앱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왜 결핍이 커졌을까? 일단 아이가 태어나면서 육아휴직을 한것이 가장 큰 포인트이다. MBTI 극 P 성향의 개발자(feat. 육아휴직)관심사가 넓고 얕다, 호기심이 많다. 원래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는 안드로이드 개.. 2023. 12. 13.
개발자로서 개인 서비스 구축과 수익 창출에 필요한 실력은 어느 정도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 경력 7년을 가진 서버 개발자로서, 개인 서비스를 시작하고 수익화하는데 필요한 실력과 동기부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 글은 특히 안드로이드 개발에서 시작해 현재 서버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는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 서비스 시작의 장벽은 낮다 저는 개발 경력 2년차부터 개인 앱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정확히는 이 세미나를 듣고 난 이후가 시작점이긴 할것 같네요. https://soulduse.tistory.com/62 개인앱 개발 세미나 후기 [2017-08-12] 2달이나 넘게 지났지만 해당 내용을 리마인딩 하기 위해 정리 및 포스팅 한다. ( 사실은 내 에버노트에만 썩혀두기 아까운 내용이라 .. ) 당시에 사진도 많이 찍어두고 했는데 폰이 고장나서 초기.. 2023. 12. 9.
코딩 개발 일지 문득 하루얼마나 코딩하는지 궁금해서 맥북에서 확인했더니 아래와 같았다. 휴직하고 밥벌어먹기 쉽진 않네 그래도 자동수익을 위한 패시브인컴을 생성하는데 들인 시간이니 뿌듯하다. 기록차 남겨둔다. 11월 26일 11월 27일 11월 28일 11월 29일 거의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은 코딩하는것 같네. 요즘엔 거의 코딩을 달리느라 운동을 못한것 같다 쉬엄쉬엄 할 필요가 있겠다. 지금 만들고 있는것만 끝내면 좀 쉬엄쉬엄하자...! 2023. 11. 29.
[Android] Intent, Bundle, SavedStateHandle 객체 쉽게 전달하기. Intent, Bundle, SavedStateHandle로 다양한 데이터를 넘겨받는데 특히 객체를 넘겨받을 경우가 많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객체를 Json으로 변환한 뒤 다시 받는 쪽에서는 Json을 객체에 매핑시켜 데이터를 가져오는 구조로 주로 사용을 했다. AS-IS 하지만 이게 매번 하려니 여간 번거로운게 아니다 하나 예시를 보자. val dataDTO = DataDTO(....) val intent = Intent(context, InfoActivity::class.java).apply { val jsonAdapter = moshi.adapter(DataDTO::class.java) this.putExtra("test", jsonAdapter.toJson(dataDT.. 2023. 11. 26.
내가 하는것과 하지 않는것 난 항상 심플하고 단순한걸 추구하며 살아온것 같다. 약간은 극단적일 수 있는데 내가 관심있는것,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것 외에는 정말 아무것도 신경을 안쓰는 편인데 어릴때부터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것 같다. 문득 내가 현재 하는것과 하지 않는것에 대해서 기록해두면 나중에 봤을때 재밌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내가 하지 않는것 1. TV 시청 집에 TV가 없는지가 10년이 지났다. TV가 있으면 무의식적으로 계속 보게 되고 그만큼 시간이 뺏기며, 누군가와 같이 집에 있더라도 대화하는 시간이 줄어드는것 같아서 20대 중반 이후로는 TV 자체를 사지 않기로 다짐하고 아직도 집에 TV가 없다. 2. 옷 사기 옷을 제대로 사본지가 5년은 넘은것 같다. 20대 때 샀던 옷들은 거의 작아서 못.. 2023. 11. 25.
MBTI 극 P 성향의 개발자(feat. 육아휴직) 관심사가 넓고 얕다, 호기심이 많다. 원래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는 안드로이드 개발로 시작했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로 첫 회사를 다녔고, 두번째 회사에 와서는 안드로이드로 앱 개발 자로 지원하였으나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원해서 서버 개발로 커리어를 쌓고 있다. 정말 얇고 넓게 개발 지식을 쌓아나갔는데 왜 그렇게 갈피를 못잡고 이것저것 다 해보고싶었는지 모르겠다. Php부터 시작해서 Java, Kotlin, JavaScript, React, Angular, Android, Flutter, Python, Spring, 등등... 관심있는 분야는 다 쪼금식 찝적대며 찍먹을 해봤던것 같다. 솔직히 기술을 하나만 제대로 깊게 파기도 힘든게 사실이라 객관적으로 판단했을때 나의 개발 실력의 깊이가 그렇게 깊진 않다고 생각.. 2023. 10. 29.
앱 수익 공개(약 세달 정도 경과, feat ChatGPT) 지난번 ChatGPT 를 활용한 앱을 출시하고 한달이 지난 뒤 수익을 공개한적이 있다. https://soulduse.tistory.com/111 ChatGPT API를 활용한 앱 수익 공개(약 한달 정도 경과) 얼마전 ChatGPT API를 활용한 앱을 출시하여 수익화하기 라는 글을 작성한적이 있다. https://soulduse.tistory.com/108 ChatGPT를 활용한 앱 개발하고 수익화 하기 요즘엔 정말 대 ChatGPT 시대가 열린것 같다. soulduse.tistory.com 당시 ChatGPT API를 활용한 첫번째 앱을 출시하고 한달이 지난뒤 수익이었고, 수익 인증글과 함께 아래와 같은 글을 남겼는데 추가로 하나의 앱을 더 만들었다. 실제로 잘 동작했을까? 두번째 비슷한 앱을 출시.. 2023. 10.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