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자6

GPT와 나: 개발자의 새로운 여정 - 2 1년 후.준호는 집 베란다에 마련한 작은 작업실에서 모니터를 응시하고 있었다. 창밖으로 보이는 도시의 전경이 석양에 물들어 있었다. 그의 세 번째 앱 '크리에이티브 마인드'가 드디어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다."대규모 언어 모델 적용은 이 부분이 마지막인 것 같아요," AI 비서 '나무'가 화면 한쪽에서 말했다. 준호가 직접 개발한 AI 비서였다."그래, 고마워 나무야," 준호는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다.지난 1년간 세상은 그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빠르게 변화했다. Anthropic의 Claude 4.0, OpenAI의 GPT-5, Google의 Gemini Platinum까지, AI 모델들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넘어서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준호의 스마트폰이 울렸다. 예전 회사 팀장이.. 2025. 3. 14.
GPT와 나: 개발자의 새로운 여정 - 1 김준호는 모니터 앞에서 고개를 들었다. 오후 3시, 사무실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빛이 그의 키보드 위로 흘러내렸다. 그는 자신이 방금 마주한 화면을 다시 한번 바라보았다."이게... 정말 가능한 거야?"화면 속 ChatGPT는 그가 한 시간 동안 풀지 못했던 버그의 정확한 원인과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었다. 지난 주에 출시된 GPT-4였다. 2022년 말, 처음 ChatGPT를 접했을 때는 그저 재미있는 장난감 정도로 여겼다. 가끔 헛소리도 하고, 정확하지 않은 답변을 내놓기도 했지만 그래도 신기했었다.하지만 2023년 3월, GPT-4의 등장은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준호는 고개를 젓고 코드를 복사해 붙여넣었다. 버그가 사라졌다. 그는 자리에서 일어나 커피 한 잔을 따랐다. 창가에 서서 아래 거리를 내려다보.. 2025. 3. 13.
개발자의 부업 도전기 - 앱 개발과 본업 함께 하기 요즘 개발자들 사이에서 본업과 부업(사이드 프로젝트)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화두입니다. 특히 웹 개발자로 일하면서 앱 개발을 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부업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과연 이런 접근이 커리어에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실수일까요?두 가지 길: 전문화 vs. 다양화개발자 커리어에는 크게 두 가지 방향이 있다 생각합니다.전문화: 한 분야를 깊게 파고들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길다양화: 여러 분야의 기술을 습득하여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길어느 쪽이 더 좋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두 접근법 모두 장단점이 있죠. (현실적으로는 많은 분들이 1번을 추구하긴 합니다.)전문화의 장점- 특정 영역에서 깊은 지식과 경험 축적- 회사에서 핵심 인력으로 성장할 가능성 .. 2025. 2. 21.
개발자로써의 저의 커리어는 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제 인생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전 지방대 컴퓨터 공학과를 나왔지만 코딩 관련된 성적은 C-~B+가 전부이고 졸업할 당시 실제로 아는 지식이라곤 하나도 없다시피 했습니다. 중, 고등학교 학창시절 마냥 게임하는걸 좋아해서 그럼 뭘하지? 생각하다가 선택한 컴퓨터공학인지라 막상 입학을 하고보니 C프로그래밍, Java와 같은 언어는 도대체 이걸 배워서 뭘 할 수 있는지, 이걸 왜 공부 하는지와 같은 이유와 동기를 도저히 찾지 못했고 당연히 성적은 늘 바닥을 기기 바빴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살면 될지 몰라서 학기 중간 무계획 1년 휴학도 했었죠. 실상은 방구석 프로게이머로 생활 + 동네 호프집 알바로 시간을 허비했습니다. 졸업 후 삶을 떠올려보면, 아무것도 모르는 실력으로 취업 시장에서의 .. 2024. 11. 28.
MBTI 극 P 성향의 개발자(feat. 육아휴직) 관심사가 넓고 얕다, 호기심이 많다. 원래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는 안드로이드 개발로 시작했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로 첫 회사를 다녔고, 두번째 회사에 와서는 안드로이드로 앱 개발 자로 지원하였으나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원해서 서버 개발로 커리어를 쌓고 있다. 정말 얇고 넓게 개발 지식을 쌓아나갔는데 왜 그렇게 갈피를 못잡고 이것저것 다 해보고싶었는지 모르겠다. Php부터 시작해서 Java, Kotlin, JavaScript, React, Angular, Android, Flutter, Python, Spring, 등등... 관심있는 분야는 다 쪼금식 찝적대며 찍먹을 해봤던것 같다. 솔직히 기술을 하나만 제대로 깊게 파기도 힘든게 사실이라 객관적으로 판단했을때 나의 개발 실력의 깊이가 그렇게 깊진 않다고 생각.. 2023. 10. 29.
1인 개발자, 5년동안 개인앱 150개 이상 만들기 나의 취미는 앱개발이다.  틈만나면 뭘 만들면 재밌을까?, 어떤걸 만들면 내가 또는 누군가가 편리해질까?, 이런걸 만들면 돈이 좀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고 산다. 처음에는 내가 만든 무엇인가로 세상을 이롭게 하면 좋겠다라는 막연함에서 시작되었는데 앱을 출시하고 보니 생각보다 괜찮은 부가적인 수익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지나서 생각해보니 수익 부분이 내가 이런 행위를 하는데 지속적인 힘이되는 원동력이 되었고 현재도 그 원동력은 진행중인것 같다.  왜 앱개발에 뛰어들게 되었나?위의 생각을 가지고 시작한지 어느덧 5년 정도가 흘렀다. 5년전에는 막연하게 5년이 지난 시점에 나는 앱개발을 통해서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라는 생각을 가진적이 있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는데 2017년 어쩌다 우연히 들었던 .. 2023. 2. 7.
반응형